Kotlin-jdsl과 Querydls의 차이점과 선택 과정
·
서버 개발(생각과 구현)
Kotlin으로 서버 개발을 하다 보면 생각보다 많은 ORM 선택지와 Query 빌더들을 접할 수 있다.ORM으로는 JPA, Ktorm, Exposed, JOOQ 등이 있다. 오늘 글의 주제는 바로 Query 빌더에 대한 내용이다.Query 빌더 중 가장 많이 접한 것은 바로 kotlin-jdsl과 Querydsl이다.먼저 kotlin-jdsl이란?Kotlin JDSL | Kotlin JDSL Kotlin JDSL | Kotlin JDSLLatest stable version: 3.5.4kotlin-jdsl.gitbook.io Kotlin JDSL은 메타모델 없이 쿼리를 쉽게 만들 수 있게 도와주는 Kotlin 라이브러리이다.Kotlin JDSL의 패러다임과 추구하는 방향은 아래와 같다.APT를 이용하면..
코틀린을 활용한 JPA 엔티티 전략 고민 과정
·
서버 개발(생각과 구현)
Kotlin 및 ULID를 통해 Entity ID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고민의 과정 및 결론해당 글은 Kotlin, JPA 환경에서 ID 생성 전략을 어떻게 가져갈지 고민하고, 그 고민의 과정을 정리한 글입니다.🤔 1. 가지고 있던 고민사내에 처음 도입되는 JPA사내에서 사용중인 Id 전략과 다르게 가져갈건지다르게 가져간다면 어떤 전략을 가져갈건지이렇게 크게 3가지 고민이 있었다. 그래서 더욱 어떤 전략을 가져가야 효율적으로 개발할 수 있을지 고민했다.🫠 2. 고민의 해결?!JPA에서 일반적으로 PK로 @Id를 사용해서 정의한다. 이에 따른 타입은 보통 Long Type과 UUID Type이 시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.Long Type: Auto Increment를 사용해서 DB에서 관리하는 전..
Spring Eureka를 사용해서 MSA 체험기 (2)
·
서버 개발(생각과 구현)
앞서 Spring Eureka가 뭐고 각각의 구성요소를 러프하게 살펴봤다면 이번에는 직접 구현하며 이를 알아볼 것이다. 이전 글https://jaejune0625.tistory.com/58 Spring Eureka를 사용해서 MSA 체험기 (1)먼저 Spring Eureka란? 아래 공식문서를 살펴보자! https://cloud.spring.io/spring-cloud-netflix/reference/html/ Spring Cloud Netflix This project provides Netflix OSS integrations for Spring Boot apps through autoconfiguration and binding to thejjlee0625.tistory.com 먼저 Server A..
Spring Eureka를 사용해서 MSA 체험기 (1)
·
서버 개발(생각과 구현)
먼저 Spring Eureka란?아래 공식문서를 살펴보자!https://cloud.spring.io/spring-cloud-netflix/reference/html/ Spring Cloud NetflixThis project provides Netflix OSS integrations for Spring Boot apps through autoconfiguration and binding to the Spring Environment and other Spring programming model idioms. With a few simple annotations you can quickly enable and configure the common patcloud.spring.io 대략적으로 설명을 읽어보..